728x90
반응형
“되다”와 “돼다”를 자주 쓰면서 혼동되는 경우가 많습니다. 차이를 알아봅시다.
1. "되다"가 원형
"되다"는 동사로서 어떤 상태나 결과가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합니다.
활용할 때 "되-"가 변형될 수 있습니다.
2. "돼"는 "되다"의 활용형
"되다"가 구어체에서 줄어들면서 "돼"라는 형태로 쓰입니다.
예시:
공부가 되다 → 공부가 돼
준비가 되었다 → 준비가 됐다
3. "돼다"는 틀린 말
"되다"를 줄인 말이 "돼"이기 때문에, "돼다"라고 쓰는 것은 잘못된 표현입니다.
"돼다"라는 단어는 원래 존재하지 않습니다.
✅ 올바른 예시
일이 잘 되길 바란다. (O)
일이 잘 돼길 바란다. (X)
그렇게 하면 안 돼. (O)
그렇게 하면 안 돼다. (X)
우리 모두 바르고 좋은말을 쓰도록 합시다.
도움이 되길 바랍니다:)
'팁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피해야할 음식 4가지 | 음식 전문가들이 식당에서 절대 주문하지 않는 4가지 재료 (0) | 2023.07.16 |
---|---|
로또 번호 생성기 (0) | 2023.06.29 |
심심할 때찾아보는 커뮤니티 사이트 모음 | 각종 볼거리#뉴스#이슈#오늘뭐보지#아무거나볼것#가십거리#디시인사이드#루리웹#더쿠#클리앙#개드립#웃긴대학#보배드림#오늘의유머#가생이#와이.. (0) | 2023.06.23 |